국내 호스팅 서비스를 해지하고 AWS를 이용하여 웹사이트 개발을 해보기 위해서 책을 구입했다.
전체적인 짜임새는 AWS 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있다.
다만 실질적인 서버 운영에 대해서는 책한권으로는 그 내용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.
아래는 책 내용을 대략적으로 요약해본다.
[Chapter1. Amazon EC2의 기본조작]
1. AWS 계정 신청
2. 리눅스 기반 EC2 인스턴스 생성
1) Region 도쿄 선택
2) 인스턴트 타입 선택
- ECU (EC2 Compute Unit => CPU 성능 지표)
- 마이크로 인스턴스 선택 (로컬 인스턴스 스토어 없음, 613M, 2ECU)
3. Apache 설치
- mac terminal 로 접속하여
ssh -i demo-key.pem ec2-user@ec2-54-65-141-148.apnortheast-1.compute.amazonaws.com 로 ssh 접속
( key-pair.pem 파일의 권한 확인 필요 400 이상 권한이 있어야함)
- sudo yum install httpd 로 아파치 패키지 설치
-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할 때는 sudo 명령을 사용하거나
sudo -i 로 root 사용자로 전환
- apache 가동 : sudo service httpd start (정지 : stop)
- apache 자동 시작 설정 (EC2 인스턴스 재가동 시 apache도 자동으로 재가동 되도록 조치)
sudo chkconfig httpd on
4. 고정 IP 주소 할당 (Elastic IP 서비스 이용)
[Chapter 2. 기본적인 클라우드 디자인 패턴]
1. snapshot 패턴 (EC2 인스턴스 백업)
- EC2 인스턴스에서 snapshot 생성
- snapshot 에서 EBS volunm 생성
- snapshot 에서 AMI 생성
2. stamp 패턴 (EC2 인스턴스를 복제 => 클라우드의 장점)
- EC2에서 snapshot 안만들고 바로 AMI 생성 가능
- EC2 를 통해 생성한 AMI 를 통해 여러개의 EC2를 복제할 수 있다.
- 일반적으로 서버에 OS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각종 설정을 하는 것은 손이 많이 간다 => 이를 간편하게 함,
물리서버에서는 어려운 일임
- EC2 인스턴스를 하나 새로 만들면 거기에는 이미 apache 서버가 설치되어 있고, 인스턴스 재시작 시 apache
자동 재시작 설정이 되어 있다.
3. scale up 패턴 (동적으로 cpu, 메모리 등의 사양 변경 => 클라우드의 장점)
- 사양변경이 간단하여, 월마감 때나 접속량이 늘어나는 특정 이벤트 기간만 사양을 높일 수 있다.
- 사양변경 절차
1) 인스턴스 정지
2) 인스턴스 타입 변경
- x1.micro < small < large 순으로 성능 좋음
4. Ondemand Disk 패턴 (동적으로 디스크 증설 => 클라우드의 장점)
1) 디스크 증설
2) 디스크 확장
3) RAID 구성
- EC2 인스턴스와 같은 AZ에 있는 EBS 볼륨만 마운트 가능함
[Chapter 3. 이미지 동영상 제공 사이트 구축 (정적 html 파일 배포 방법)]
1. S3 이용 : 정적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구성하면 EC2 인스턴스의 부하가 준다
1) web storage 패턴 : 동영상 같은 큰 파일만 S3에 저장하여 별도 링크를 제공하여 사용
2) Direct Hosting 패턴 : 큰 파일 외에 HTML 파일 등 정적 파일 전부를 S3에서 제공
2. 캐시 이용
1) Cache Distribution 패턴 : Amazon CloudFront 서비스 이용, 갱신한 데이터가 바로 캐시에 반영되지 않음
2) Rename Distribution 패턴 : 갱신한 데이터를 바로 캐시에 반영
- DNS 구성 (route 53 이용, DNS설정하려면 도메인을 구입(신청)해야한다.)
* DNS (domain name system) : www.myhome.com -> 58.11.23.234 로 매핑 해주는 서비스
- 레코드 : IP 주소를 할당하는 설정 (A, AAAA, PTR, MX, NS)
[과금 관련]
- EC2는 가동하고 있는 시간만 과금된다.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정지해둔다.
- Elastic IP를 할당한 EC2 인스턴스를 정지해두면 Elastic IP에 대해 과금이 되기 때문에 주의
[용어]
AWS : Amazon Web Service
AMI : Amazon Machine Image : OS가 설치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 가상 서버 이미지
AZ : availability zone 서버가 위치하는 지역
EC2 : Elastic Compute Cloud (유연한 컴퓨트 클라우드 => cpu)
Elastic IP : 고정 IP (왜 elastic 이지? fixed ip 아닌가?ㅋ)
EBS : Elastic Block Store (하드, 저장공간)
Amazon S3 : Simple Storage Service : http 요청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파일서버 서비스
Amazon Route 53 : DNS 서버 기능 제공 (DNS가 53번 포트를 사용하니까)
내용은 책을 공부하면서 계속 정리해야겠다.
'Etc > Hosting &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생성 방법 정리 (0) | 2018.12.22 |
---|---|
AWS Cloud9 세팅 방법 및 과정 정리 (0) | 2017.12.02 |
PuTTY 를 통한 윈도우에서의 AWS 접속 방법 및 에러 (0) | 2017.09.13 |
무료 클라우드 용량 및 장단점 정리 (0) | 2017.07.25 |
AWS 비용 초과 시 결제 알림 설정 (Cloud Watch) (0) | 2017.04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