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(=생애최초주택자금 대출)
이번에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대출을 받아서
광명시 하안동에 위치한 주공아파트를 매입하기로
해서 디딤돌 대출에 대해서 조사하게 되었다.
조사한 내용을 최대한 정리하고
본인의 상황에 맞게
정리해서 공유해본다.
이 내용은 철저히 글쓴이 본인의
상황에 맞게 대입한 부분이니
여기 내용은 한번 훑어보고
자세한 내용은
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
꼭 재확인해보길 바란다.
(주소 : http://www.hf.go.kr/cmspubl/template1/MN00000025.jsp?on=1)
그러면 이제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에
대해서 한 번 알아보자.
0. 개요
1. 조건
-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이하
(단, 생애최초의 경우 7천만원 까지)
-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*로서 세대주를 포함한
세대원 전원이 무주택** 으로
단독세대주를 포함
- 만 30세 미만 단독세대주는 제외
- 미혼도 신청 가능
=> 본인은 모든 조건에 해당된다.
2. 신청시기
- 소유권 이전 등기일로부터 3개월 이내
=>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계약서를 작성하고
그 시점에서 3개월 이내 대출을 받으면 된다.
3. 대출금리 (연 2.3 ~ 3.1%, 우대금리 추가적용)
- 대출만기까지 고정 또는 5년단위 변동 선택
- 소득수준에 따른 차등금리
소득기준 (부부합산 연소득) |
대출기간 |
|||
10년 |
15년 |
20년 |
30년 |
|
2천만원 이하 |
연2.3% |
연2.4% |
연2.5% |
연2.6% |
2천만원 초과 ~ 4천만원 이하 |
연2.5% |
연2.6% |
연2.7% |
연2.8% |
4천만원 초과 ~ 6천만원 이하 (생애최초는7천만원 이하) |
연2.8% |
연2.9% |
연3.0% |
연3.1% |
[우대금리]
- 우대금리 적용 결과 최종 대출금리가
2% 이하인 경우에는 2% 적용
(2016.5.30일부터 2016.11.30일까지
6개월간 신청접수하는 경우
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 대한 우대금리 적용 시
금리하한선 2% 적용 배제)
=> 내 경우에 적용하면
미혼 / 연봉 4800 / 생애최초
/ 청약 3년이상 36회차 이상
/ 신청일시 2016.7.16
/ 대출기간 30년
이므로
연 3.1% - ( 0.5% + 0.2%) = 2.4%
총 금리는 2.4%가 된다.
중도상환해약금은
- 중도상환시 대출잔존기간에
따라 차등 (대출 취급후 3년 이내 1.2 %)
- 3년이후 상환시 면제
빨리 벌어서 중도 상환하고 싶다.
총 1억 4천을 대출할 예정이므로
월별 이자비용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.
월별 이자비용 계산
- 대출금액 : 1억 4천
/ 1년 거치, 30년 상환 (2.4%)
/ 원리금균등상환
=> 1년차 매달 280,000 원
=> 2~30년차 매달 558,795 원
=> 총 이자비용 : 57,818,560 원
* 이자계산 사이트 참조
http://best79.com/loan/1/140000000/2.4/360/12
결과적으로
30년동안
재산세(연간 30만원 * 30년 = 900만)
+ 구입부대비용 (3 ~ 400만)
+ 총이자비용(5700만)
= 7000만원
만큼 집값이 올라야 이득이다.
자금을 계산을 해보면..
전체 소요예상금액
집값 (2억) + 기타비용(500만)
기타비용 내역
복비(80만) + 취등록세(247.5만)
+ 법무사비(40만) + 수입인지등(23만)
+ 도배장판(80) + 리모델링(?)
= 약 500만
투자할 금액 (내 재산)
신한은행입출금 (350만) + 신한은행예금(500만)
+ 신한CMA계좌 (3910만) + 주식(400만)
+ 이번 달 월급 = 5500만
예비금
주택청약저축(546만) + 중국펀드 (70만)
계산
5500만 (내 재산)
+ 1억 4천 (디딤돌 대출)
+ 1000만 (부모님 대출)
= 2억 1천
빠듯하구나..
아래는 참고 사이트
청약저축 해지 전 청약저축 연말정산용
주택마련저축납입증명서 출력
(유주택자 주택청약종합저축
해지 관련 참고
: http://blog.naver.com/clee20000/220720580061)
* 취등록세
(주공6단지 56제곱미터
/전용면적 41.3제곱미터 기준
, 취득세와 지방교육세가 거래가액의 1.1%)
참고 : http://www.r114.com/z/solution/acquisition_
* 수입인지 15만 + 법원증지 1.5만
+ 국민주택채권할인액 5.6만 = 23만
* 법무사 등기비용 40 ~ 50만
(대표자가 법무인인지 확인필)
4. 대상주택
- 주택가격 6억원 이하,
주거전용면적 85㎡ 이하
(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
아닌 읍·면 지역은 100㎡까지)
=> 85제곱미터는 25.7평 / 60제곱미터는 18평
=> 광명시 하안동에서 매입할
주공아파트 크기는
52.88 제곱미터 (15평) 이며
2억대 이므로 조건을 충족한다.
5. 대출한도
- 주택담보가치의 최대70% (최대금액 2억원)
- DTI 60% 이내 일 경우 LTV 70%
- DTI 60% ~ 80% 이내 일 경우 LTV 60%
- DTI 80% 이상은 대출불가
=> 2억이면 1억4천까지 대출가능
6. 대출기간
- 10년, 15년, 20년, 30년
=> 최대한 길게하는게 좋다고 한다.
총이자비용은 많이 들지만..
7. 상환방식
- 거치기간 (이자만 납부하는 기간)
최대 1년 설정 가능
=> 보통 거치기간 1년
원리금균등상환으로 한다.
8. 신청방법
-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신청
(공인인증서 로그인)
- 은행 영업점을 선택하면
해당 영업점에서 대출금 수령
9. 기타
- 대출실행 후에는 주택 및 소득에 대한
사후검증을 실시하지 않음
- 임차인이 있는 경우 임대차보증금만큼
대출금액 한도 차감
=> 2억 * 70% - 1억 (임대차 보증금)
= 4000만원
대출 받을 때
주의할 부분은 시세 * 70% 가
아니라
국민은행에서 산정한 아파트 가격 기준
* 70% 이기 때문에 이부분은
공인중개사나 인터넷을 통해
확인을 하길 바란다.
본인도 2억 * 70% 로 1억 4천
대출 받을 수 있을 줄 알았는데
1억 8천으로 아파트 기준가격이
잡혀 있어서
더 적은 금액이 1억 2천대로만
대출이 가능했다.
아무튼 없는 살림에
이렇게 무리해서라도
집을 구해놔야
나중에 집값이 올라도
버틸 수 있지 않나 싶어서
해보는 건데..
인생은 선택의 연속이고
그 선택의 책임은 오로지 나에게 있는 바,
이번 선택이 옳은 선택이었길 빌며..
다른 분들도 좋은 투자하시고
부자되길 바란다.
'Etc > Miscellaneou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파트구입 #3] 아파트 매매 시 유의사항 정리 (0) | 2016.07.10 |
---|---|
[아파트구입 #2]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주공아파트 조사 (2) | 2016.07.09 |
[미국여행] 보스턴 뉴욕 여행 #5 (하버드) (0) | 2016.07.08 |
[미국여행] 보스턴 뉴욕 여행 #4 (MIT) (0) | 2016.07.08 |
[미국여행] 보스턴 뉴욕 여행 #3 (퀸시마켓) (0) | 2016.07.07 |
댓글